‘쇼핑난민’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이 사람
‘쇼핑난민’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이 사람
  • 에디터 김재현
  • 승인 2018.11.01 1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에서 ‘쇼핑난민’(買い物難民 또는 買物難民)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쇼핑난민은 거동이 어려워 생필품을 사거나 장보기가 어려운 고령인구를 말한다. 쇼핑난민 외에 쇼핑약자(買い物弱者 또는 買物弱者), 쇼핑빈곤자(買い物困難者 또는 買物困難者)라는 말도 쓰인다. 쇼핑난민이라는 말은 일본에서 언제 생겼을까.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08년 9월 책이 한 권 출간됐다. ‘쇼핑난민-또 하나의 노인 문제’(買物難民-もうひとつの高齢者問題)라는 제목의 책이다. 저자는 오비히로(帯広) 축산대학의 스기타 사토시(杉田聡) 교수.(오비히로 축산대학은 홋카이도 오비히로 시에 있다) 스기타 사토시 교수는 책에서 ‘두부 한 모 조차 사기에도 힘겨운’ 자신의 어머니 체험을 묘사했다.

쇼핑난민이라는 말의 출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우베프런티어대학(宇部フロンティア大学)의 사토 준이치(佐藤祐一) 교수의 논문을 참고했다. (우베프런티어대학은 야마구치현 우베(宇部)시에 있다) 2010년 발표된 이 논문의 제목은 ‘지역사회와 구매행동’(地域社会と買い物行動). 사토 준이치 교수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쇼핑난민은 오비히로(帯広) 축산대학 교수 스기타 사토시(杉田聡)씨가 명명한 말로, 식료품과 생활필수품 쇼핑에 곤란을 겪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원문: 買物難民とは 帯広畜産大学教授の杉田聡氏により 名づけられた言葉で, ‘食料品や生活必需品の 買い物に困る人々’の ことを 指す。)

사토 준이치 교수는 논문에서 “요미우리신문이 2009년 6월 5~12일에 걸쳐 쇼핑난민에 대한 특집기사를 싣고 각 지역의 다양한 상황을 보도했다”고 썼다. 그는 “쇼핑난민이라는 단어가 위화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TV 등에서는 쇼핑약자(買物弱者)라는 말로 바꾸고 있다“고 했다.

일본에는 쇼핑난민이 얼마나 될까.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일본의 65세 이상 인구 4명 중 1명이 이미 쇼핑난민’이라고 한다. 농림수산성의 농림수산정책연구소는 지난 6월 ‘식료품 접근이 곤란한 인구 추계’(食料品アクセス困難人口の推計)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가장 가까운 소매점까지 직선거리로 500미터 이상 떨어져 있고, 자동차를 사용할 수 없는 65세 이상의 사람은 2015년 기준으로 전국에 824만6000여 명”이며 “이는 2005년에 비해 약 21.6% 증가한 수치”라고 했다.

신체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소규모 상점이 줄면서 쇼핑할 곳이 없는 경우도 많다. 소매업의 한 관계자는 시사매체 주간아사히(11월 9일 발매 예정)에 “노인이 걸어서 쇼핑 갈 가게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며 “전국 어디서나 쇼핑난민이 생겨 날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高齢者が歩いて買い物に行ける店が、どんどん消えています。全国どこでも買い物難民が生まれる危機に直面しているのです。)고 말했다.

쇼핑난민은 비단 농촌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도쿄나 오사카 등 대도시 지역도 심각한 수준까지 이르렀다.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전국 쇼핑난민(824만 6000 명) 중 지방권은 447만 명,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3대 도시권에선 377만6000 명에 달한다.

이는 2005년과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난다. 지방권은 416만 3000 명(2005년)에서 10년 새 30만7000 명이 늘어났다. 비율로 보면 7.4 % 증가에 불과하다. 하지만 3대 도시권은 262만1000 명(2005년)에서 10년 만에 115만 5000명이나 불어났다. 44.1% 대폭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쇼핑난민 대책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표적인 것이 이동 서비스다. 수퍼 등 소매점들이 도시락 등 배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편의점업계 역시 배달 서비스를 위해 이동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고령자들을 위해 수퍼나 병원에 가는 버스를 제공하는 지자체들도 있다.

분명한 건, 이 쇼핑난민이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일본보다 더 빠르게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는 한국도 피해갈 수 없는 사회적 문제임에 틀림없다. <에디터 김재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