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구의, 일본 영화 경제학⑩ / 무성영화시대
이훈구의, 일본 영화 경제학⑩ / 무성영화시대
  • 이훈구 작가
  • 승인 2019.04.17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나가타(女形: 가부키의 여장 남자배우) 파동과 벤시(辯士: 말하는 남자)의 전횡이라는 과도기를 거친 일본 영화계는 비로소 무성영화의 황금기를 열어간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벤시가 말로써 표현하던 것들이 영상으로 대체 되었고, 자막을 읽어 내려가지 못할 만큼 문맹률이 크지도 않았다. 촬영기술이 가부키, 문학, 회화 등 민족적 전통문화와 혼합되어 ‘영화’는 일본에서 가장 독보적인 문화영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신들만의 개성을 발전시켜 나갔다.

192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영화산업’으로 틀을 잡기 시작했고 ᐅ‘시대극(時代劇)의 아버지’라 불린 이토 다이스케(伊藤大輔) ᐅ사회비판적 리얼리즘 영화의 효시라 불리는 우치다 도무(內田吐夢) ᐅ서민극(庶民劇의) 대가 고쇼 헤이노스케(五所平之助) ᐅ일본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기누가사 데이노스케(衣笠貞之助) ᐅ아베 유타카(阿部豊)등을 통해 제1의 황금기를 맞이한다.

이들 외에도 스튜디오에서 무성영화의 성숙기를 맞이한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郞),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 나루세 미키오(なるせみきお) 같은 감독들이 배출되어 일본영화라는 자각과 함께 일본 영화의 근대화에 앞장섰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러한 일본영화의 근대화가 자연재해를 통해 더욱 확고해졌다는 것이다. 1923년 9월1일 ‘관동대지진’이 일어났다. 강력한 지진으로 도쿄와 그 주변 지역을 대부분 파괴한 것이다.

가마타의 쇼치쿠(松竹) 스튜디오와 무코지마의 닛카쓰(日活) 스튜디오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이 과정에서 닛카쓰는 도쿄의 촬영소를 폐쇄하고 교토로 옮겼다.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해 일본영화산업에 있어서 제작 스케줄은 물론 주당 목표로 한 영화제작이 불가능해지자 신속하게 미국과 유럽영화들을 수입하여 그 자리를 메워 버렸다.

프리츠 랑(Fritz Lang),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Friedrich Wilhelm Murnau),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Josef von Sternberg)등 당대 최고 감독들의 영화들이 수입되어 일본영화인들이 자신의 영화적 표현을 확립할 기술적 미학적 토양을 제공했다.

이들에게 받은 영감은 곧바로 ‘일본화’에 들어갔고 스스로 영화이론을 만들어가면서 장르적으로는 시대극(時代劇, 지다이게키)과 현대극(現代劇, 겐다이게키)이라는 양대 축으로 스토리텔링을 형성해 나갔다.

이중 가장 발전한 장르는 현대극이었다. 순영화극운동이라는 유행이 지나간 후, 쇼치쿠와 닛카쓰는 각자 근대화와 개혁에 서둘렀다. 쇼치쿠에서는 젊은 제작자 기도 시로(城戶四郞)를 중심으로 평범한 서민들의 희로애락을 묘사해 나가면서 명랑하고 경쾌한 감각의 영화들을 통해 소시민들이 꿈꾸는 작은 행복들을 ‘작풍(作風)’으로 정한다.

이때 등장한 대표적 인물이 오즈 야스지로다. 그의 영화는 최후의 순간까지 서민이 주인공이고 인생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희로애락과 체념, 달관, 유머, 해학, 무의미한 반복 등을 묘사해 나갔다.

반면 닛카쓰의 현대극들은 계몽주의적인 요소로서 차별화를 두었다. 무라타 미노루(村田寶)가 쇼치쿠에서 이적하여 ‘세이사쿠의 아내’(淸作の妻, 1924) 같은 농촌에 전승되는 인습을 타파하는 소재로 영화를 만들어 반향을 일으켰고, 할리우드에서 돌아온 아베 유타카를 통해 세련되고 스피디한 연출력을 전수 받았다. 이 시기에 감독들은 그림자를 강조하는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기법, 오버랩, 독일 표현주의의 모방, 롱샷(long shot)기법의 확립 등 여러 가지 영화적 실험을 했다.

시대극에도 변화가 일어나는데 영화에 원작을 제공하는 장르가 가부키와 야담에서 대중소설로 바뀌게 되면서 스토리텔링이 단단해졌다. 덕분에 시대극의 전투장면 역시 빠르고 격렬한 난투장면으로 변해갔으며, 이때 닛카쓰와 결별한 마키노 쇼조(牧野省三)가 세운 마키노 영화사라는 독립 프로덕션이 생겨 자유롭게 제작과 배급을 병행 하면서 스타를 배출해 나갔다.

덕분에 교토가 아시아 으뜸의 영화 도시로 발전하게 된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때 등장한 스타들의 면모는 오늘날 이른바 한국영화계에서 ‘다찌씬’으로 불리는 ‘다치마와리(立回)’를 통해 난투장면과 함께 특유의 야비함과 호쾌함을 보여줌으로 호평을 받았다. 이는 원래 가부키의 특수연출 용어인 ‘다테(殺陣)’에서 유래된 것으로 살인, 격투, 범인체포 등, 살벌한 장면에서 볼 수 있는 양식화한 무대 위 난투 연기의 일종이었다.

이중 반도 쓰마사부로(阪東妻三郞)는 무표정하지만 사회 주변으로 추방된 무법자의 절망을 보여주었는데, 호쾌한 난투장면과 낭인의 허무주의를 박력 있게 연기했다. 오늘날 교토의 명소인 정원 ‘오코지 산소’로 유명한 오코지 덴지로(河內傳次郞)의 신들린 검술연기는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시절 일본영화는 검열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 때문인지 현대극에서는 사회모순을 둘러싼 현실비판 정신과 리얼리즘은 물론 대사 가운데 니힐리즘(허무주의), 아나키즘(무정부주의)적인 요소가 대사에 묻어났다. 반면 시대극의 경우, 사회적 메시지들을 감추기도 하고 주로 천황에 대한 충성을 고취하던 에도 시대 말기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많이 등장했다.

또한 하세가와 신(長谷川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노름꾼의 유랑 스토리 같은 영화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 때 관객들이 다이내믹한 카메라의 움직임을 좋아하는 것에 착안, 난투장면을 찍을 때 배우가 카메라 앞에서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맨이 싸우는 배우들 사이에 끼어 들어 촬영 하기도 했는데, 오늘날 핸드헬드(handheld)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시대극의 인기는 무성영화 말기에 등장하는 트래킹 샷(tracking shot, 카메라가 인물을 따라가는), 오버랩(overlap, 한 화면이 끝나기 전에 다른 화면이 서서히 나타남), 클로즈업(close up, 피사체에 가까이 접근해 찍은 장면)같은 새로운 기법들을 접목해 가면서 성장했다. 또한 교토를 찬바라(チャンバラ, ちゃんばら, 사무라이, 닌자 시리즈물)영화의 성지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진정한 칼싸움’은 교토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성영화시대 일본영화가 제1의 황금기를 맞이 하면서 무조건적으로 서양영화의 영향을 받기만 한 것은 결코 아니다. 1928년 러시아 영화감독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Sergey Eisenstein)은 모스크바를 방문한 가부키 배우 이치카와 사단지(市川左團次)가 ‘주신구라’에서 연기하는 것을 보고 그 유명한 몽타쥬(montage)이론의 계기를 발견했다.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줄거리를 전개하여 사건을 정적으로 재현하는 대신 새로운 양식, 즉 ‘어트랙션 몽타주’기법이 일본문화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에이젠슈타인은 ᐅ한자(漢字)의 기호적(記號的)성격과 결합 원리 ᐅ단카(短歌)와 하이쿠(俳句)에서 압축과 비약이 있고 상징적 표현이 사용되는 점에 주목, 몽타쥬에서 시각적 이미지의 연결을 위해 매우 유익한 소재를 얻었다.

서로 다른 연관 없는 두 단어가 결합하여 제3의 단어를 만들어내는 한자의 원리는 에이젠슈타인에게 “이것이-몽타쥬이다!”라고 선언적으로 말하게 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 덕분에 기누가사 데이노스케가 일본 내에서 실패한 작품인 멜로드라마 ‘십자로’를 들고 이미 가부키에 매료된 에이젠슈타인을 만나게 되는데 이를 계기로 모스크바, 베를린, 빠리에서 개봉시켜 일본영화의 첫 해외 진출을 이뤄 낸다.

이러한 기누가사 데이노스케의 노력은 훗날 1954년에 칸영화제에서 ‘지옥문(지고쿠몬, 地獄門)으로 칸 영화제의 황금종려상을 받는 귀중한 씨앗이 된다.<이훈구 시나오리오 작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