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구의 일본영화 경제학㉓/ 전후 황금기1
이훈구의 일본영화 경제학㉓/ 전후 황금기1
  • 이훈구 작가
  • 승인 2019.10.02 1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젊은 시절의 구로사와 아키라(黑澤明)와 기노시타 게이스케(木下惠介)감독.
젊은 시절의 구로사와 아키라(黑澤明)와 기노시타 게이스케(木下惠介)감독.

전쟁이 끝났다. 패전의 책임은 물론 일본을 비롯한 추축 동맹국들에게 돌아갔고 그 형벌로 인류 최초로 원자폭탄을 두 번이나 맞는 참사를 낳았다. 일본은 무모한 전쟁을 벌였고 300만명 넘는 군인과 민간인이 죽었으며 전 국토는 피폭으로 신음했다.

그러나 전쟁 전 필름이 없다는 이유로 흩어져 작업을 이어갔거나 혹은 종군, 은둔을 해야 했던 영화인들에게는 패전의 시점에서 각기 다른 행보를 보이며 뒤이어 올 예술적, 기술적, 사회적, 정치적 혼돈을 준비해야 했다. 비록 한 치 앞도 모르는 상황이 도래했지만 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에 전후 가장 중요한 영화인이었던 구로사와 아키라(黑澤明)와 기노시타 게이스케(木下惠介)가 데뷔를 한 바 있다.

구로사와 아키라는 ‘스가타 산시로’(姿三四郎)를 내놓는데 1883년 경 유도명인(柔道名人)의 모범적인 삶을 통해서 인생을 알아간다는 스토리로, 도미다 쓰네오(富田常雄)의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시기가 시기이니 만큼 검열이 매우 혹독해서 1800피트(약 600미터)나 되는 분량의 장면들이 삭제되고 만다. 게다가 강요에 의해 ‘속 스기타 산사로’(1945)를 촬영하게 되지만 정작 자신의 작품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만다.

그나마 그의 필모그래피에서 유일무이한 민족적 영화인 ‘가장 아름다운 자(一番美し)’를 통해 앞으로 그가 보여줄 휴머니즘의 흔적을, 첫 시대극이었으나 미군정 하에서 ‘봉건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1952년에서야 개봉된 ‘호랑이 꼬리를 밟은 사나이’(虎の尾を踏む男達, 1945)를 통해 존재감을 알리게 된다.

이에 반하여 기노시타 게이스케는 애국적이고 풍자적인 코미디 ‘꽃피는 항구’(港, Port of Flowers, 1943)와 모성적 감상주의로 검열을 받은 ‘육군’(陸軍, The Army, 1944)을 통해 건강한 가족드라마의 가능성을 보여주게 된다. 이는 쇼치쿠(松竹)만의 특성인 가족 드라마와 멜러 드라마라는 양축에 잘 어울렸을 뿐만 아니라 도쿄 보다는 지방을 무대로 하면서 코미디에 센티멘털리즘을 섞은 그만의 스토리텔링은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위의 두 사람이 일본 본토에서 데뷔를 하는 동안 다자카 도모타카(田坂具隆)는 히로시마에서 직접 원자폭탄을 맞아 투병생활을 해야 했다.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는 의욕을 한동안 상실하고 제자인 신도 가네토(新藤兼人)의 새로운 시작에 여러모로 도움을 주었는데 그는훗날 일본 독립영화계의 아버지로 이름을 날렸다.

신도 가네토는 두고두고 이때를 회고하던 끝에 1975년 자신에게 영향을 끼친 미조구치 겐지의 일대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의 생애, 미조구치 겐지(ある映畵監督の生涯, 溝口健二の記錄’)를 연출하기도 했다. 마키노 마사히로(雅弘)는 18세에 영화감독으로 데뷔 260여 편이 넘는 작품을 자신의 독특한 스타일로 연출하여 일본 영화사의 전설이 된 인물이지만 이 때 만큼은 미군들을 환영하기 위해 촬영소 창고에 넣어 둔 악기를 꺼내 급히 재즈 밴드를 조직한다.

훗날 일본 활극의 거장으로 존경 받게 될 인물이었지만 그의 아버지 마키노 쇼조가 ‘일본영화의 아버지’였기 때문에 물려 받은 재능도 뛰어나서 그의 영화는 ‘오락영화의 정수’로 불리기도 한다. 미조구치 겐지가 약 100편, 오즈 야스지로가 50여편, 구로사와 아키라가 약 40편의 작품을 연출한 것에 비하면 엄청난 편수를 자랑하게 되는데 일본에서 볼 때 ‘점령군’에 해당하는 미군을 그것도 패전 후 환영하기 위해 재즈밴드를 만들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그가 왜 전설이 될 수 있었는지 짐작할 대목이다.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郞)는 싱가포르에 있는 포로수용소에서 매일 할리우드 영화를 보고 있었고 우치다 도무(内田常次郎)는 만주에서 만에이(滿映)의 아마카스 마사히코(甘粕正彦)가의 자살을 보았고 이후 8년간 중국영화인에게 기술지도를 했다. 우치다 도무는 사무라이 액션 영화의 거장으로서 장렬한 클라이맥스가 일품인 감독인데 전쟁 이후 황금기에 시작된 장르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사사키 야스시(佐佐木康)의 ‘산들바람’(そよかぜ, そよ風, Nostalgic Blues, 1945)이 1945년 10월 전후 최초의 영화로 쇼지쿠에서 개봉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한국의 포털정보에는 이 정보가 등장하지 않고 1946년에 ‘스무살의 청춘’(はたちの青春, 1946)을 연출했다는 기록만 등장한다.

그러나 이는 틀린 말이다. 그는 여러 작품을 이후에도 연출했을뿐더러 ‘산들바람’의 경우 유튜브에도 전편 영화를 감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황폐한 도쿄를 떠난 나미키 미치코(並木路子)가 고향의 과수원을 가로 지르면서 노래한 ‘사과의 노래’(リンゴの唄)가 크게 히트했다. 이 영화는 현재도 유튜브에 무료로 전편이 공개되어 있는데 ‘そよかぜ’를 검색하면 열람이 가능하다.

이 영화를 소개하는 이유는 전후 GHQ의 검열을 통과 한 첫 번째 영화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GHQ란 ‘General Head-Quarters’의 약자인데 1945년 이후 미점령군 사령부를 뜻했다. 미군은 군정을 실시하면서 미디어와 영화산업의 민주화를 실행에 옮기게 되는데 이 때 등장하는 기구가 GHQ 산하의 시민검열분과(CCD)였고 다른 하나가 연합군 최고사령부(SCAP) 산하의 민간정보교육부(CIE)였다.

이중 CIE가 영화검열에 관한 절대적인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일본측 제작자는 기획 및 시나리오 등을 모두 미리 영어로 번역하여 허가를 받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완성된 영화 역시 CCD에서 두 번째 검열을 받았다. CIE의 중심은 미국 민간인들이었으나 CCD는 군무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의 목적은 군국주의적이거나 봉건주의적인 잔재들 그리고 미국에게 불이익을 주는 영화들을 엄격하게 걸러냈다.

물론 사회주의 계열의 평론가들은 이러한 검열을 사실상 군사 검열이며 반공산주의를 걸러냈다고 폄하하지만 이건 사실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개의 일본영화 관련 서적들이 프랑스에 집중되어 있고 이 작가들이 대부분 좌파지식인인 경우가 많아서 일어난 오해로 실제로 일본문화 전반에 드러난 국가주의나 맹목적 애국주의, 봉건적 충성심, 당연한 복수, 할복으로 대표하는 자살에 관한 긍정적 묘사, 잔인무도한 폭력 등 항목이 모두 포함된 검열이었다.

당시 CIE 과장이었던 데이비드 콘티(David Conte)가 전쟁중 일본영화들을 분석한 이후 작성한 ‘제작 금지 규정 리스트’를 근거로 한 것으로, 1945년 11월 13항에 걸쳐 검열기준을 만들었다. 오늘날 이따금 일본이 다시 군국주의 시절로 회귀하는 것을 매우 불편하게 생각하는 시선들이 많은데 이런 검열기준은 어찌 보면 당연한 수순이었다.

또한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미군의 점령 초기 사회개혁을 통해 농지개혁이나 재벌해체가 이뤄지고 후기에 반공산주의가 부각되는 시기 가장 혜택을 누린 것은 아이러니하게도‘일본공산당(PCJ)’이었다. 이들은 이념적으로 전쟁과 군국주의를 비판하는 영화들이 장려되는것을 역으로 이용했다. 이마이 타다시(今井正), 가메이 후미오(亀井文夫), 야마모토 사츠오(山本薩夫) 등이 공동 연출한 전쟁과 평화(戰爭と平和, War And Peace, 1947)가 그 대표작이다.

이마이 타다시는 전쟁 후 좌익의 독립영화 제작 운동을 촉발시킨 좌파 이데올로기의 전도사였고 가메이 후미오는 일본에서 기록영화(다큐멘터리)를 가장 먼저 만든 감독이었으며 야마모토 사츠오는 사회적인 메시지를 던지기로 유명한 감독으로 한국에는 ‘하얀거탑(白い巨塔, 1966)으로 유명한 감독이다.

이들은 1948년에 극에 달한 도호 쟁의(東宝争議)의 리더 중 하나로 회사에 맞섰으며 이중 야마모토 사츠오는 1948년 도호(東宝)를 떠나 공산주의 비평가인 이와사와 아키라 등과 함께 신세이에이가샤(新星映畵社)를 설립한 후 폭력의 거리(暴力の街, 1950)등을 만들었다. 동시에 미군정의 검열에 저항하는 이른바 ‘레드퍼지(レッドパージ: 연합군 점령 하의 일본에서 더글러스 맥아더 연합군 최고사령부 총사령관의 지령에 의해 일본공산당 소속 당원이나 동조자를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에서 해고한 움직임)’ 영화인들의 조직적 저항을 이끌어 내려 했다.

이 전통은 1955년 야마모토 프로(山本プロで)의 설립으로도 이어져 전국농촌영화협회의 작품인 ‘짐수레의 노래’(荷車の歌, 1959), 일본 교원 노동조합(日教組)의 재정적 후원으로 제작한 ‘인간의 벽’(人間の壁, 1959) 등으로 투쟁적인 영화들을 만들어 나갔다. 뿐만 아니라 일본 공산당은 자신들의 나라가 전범이라는 것을 까맣게 잊은 채 미군정과의 투쟁을 자신들의 세력 확장 수단으로 삼게 되는데 단순한 미군정에 대한 거부감, 패망에 대한 허탈감에 겹쳐 ‘반미(反美)’정서가 일어나자 이를 드러내 놓고 이용하는 기민함을 보인다.

이러한 역설은 전 세계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 사회의 병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 영화인들 대부분이 독립프로덕션의 한계를 절감하는 한편, 이데올로기에 대한 회의가 일어났는데 노동조합의 지지와 압력은 결국 또 다른 자신들만의 ‘검열’을 통해 스토리의 앞뒤가 맞지 않는 파업, 농촌운동 등 장면을 꾸며 넣도록 하여 반감을 샀다. 이 때문에 영화인들이 다시 메이저 영화사로 복귀하게 되는데 1951년 도에이(東映) 등의 설립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았다.<미국 LA=이훈구 작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