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아버지와 두번 악연…나카소네 전 총리 타계
아베 아버지와 두번 악연…나카소네 전 총리 타계
  • 에디터 이재우
  • 승인 2019.11.30 1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보수의 상징인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가 별세했다.
일본 보수의 상징인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가 별세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가 11월 29일 타계했다. 101세다. 1947년 28세의 나이에 중의원에 당선, 2003년 정계 은퇴를 할 때까지 무려 20선을 했던 일본 막후정치의 거물이었다. 2010년 그가 92세에 낸 <보수의 유언>이라는 책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일본 보수의 상징과도 같았다. 1983년(전두환 정부)에는 일본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한국을 공식 방문했다. 재팬올이 잘 알려지지 않은 2가지 사건을 통해 나카소네의 정치 이력을 되돌아봤다.

⓵ 잘못 번역된 ‘불침항모’…서로 애칭 부르는 계기
나카소네는 외교적으로 ‘강한 일본’을 만드는 데 주력했다. 1982년 총리에 취임하자마자 이듬해인 1월 곧바로 미국을 방문했다. 당시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서로를 ‘론’, ‘야스’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두 사람이 친밀한 사이가 된 배경에는 그 유명한 ‘불침항모’(不沈航母) 사건이 있었다. 일본을 소련의 미국 공격을 막는 ‘불침항모’라고 부르면서 미일 동맹을 강조했던 것. 하지만 이 이야기는 정확한 팩트가 아닌, 만들어진 스토리였다. 당시 어떤 일이 있었을까?

미국에 도착한 다음 날 나카소네는 워싱턴 포스트의 사주인 캐서린 그레이엄 여사가 개최한 조찬회에 초청을 받았다. 즉석에서 워싱턴 포스트와 인터뷰가 진행됐다. 나카소네는 <보수의 유언>(오대영, 김동호 옮김, 중앙books)에서 인터뷰 내용을 이렇게 썼다. 

“일본의 방위 개념에는 해협이나 시레인(sea lane: 해상 보급로)을 방위하는 문제가 있지만 기본은 일본 열도 상공을 커버해 소련의 백파이어(소련의 최신예 초음속 폭격기) 침입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백파이어의 성능은 강력하므로 만약 이것이 유사 사태 때 일본 열도나 태평양 주변에서 위력을 발휘한다면 일미 방위협력 체제는 상당한 타격을 입는다는 점을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만일 유사 사태가 벌어지면 적성 외국항공기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도록 일본 열도 주변에 높은 벽을 갖고 있는 커다란 배와 같은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보수의 유언‘ 103쪽)

사단은 이 말을 통역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통역이 마지막 문장을 ‘unsinkable aircraft carrier’ 즉, 일본어로 불침항모(不沈航母)라고 통역해 버린 것이다. 통역의 실수였다. 이 발언은 당시 국제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사태는 어떻게 흘러갔을까. 나카소네는 “얼마 후 인터뷰를 했던 오버도퍼 기자로부터 ‘녹음 테이프를 다시 들어봤는데 불침항모라는 말은 없으니까 기사 내용을 정확하게 잡아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다”며 “하지만 나는 정정할 필요가 없다고 회답했다”고 썼다. 나카소네는 이를 ‘실수를 가장한 행운’이었다고 표현했다. 그의 말을 좀 더 인용해 보자.

<불침항모 발언은 기대치 못했던 효과를 발휘하면서 이튿날 레이건 대통령 부부와의 회동이 이뤄졌을 때도 좋은 분위기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다. 레이건이 “앞으로 서로 퍼스트 네임을 부르도록 하자”고 말할 정도로 가까워질 수 있었다.>(같은 책 193쪽)

⓶ 아베 아버지를 두 번이나 총리직에서 ‘주저앉혔다’
나카소네는 아베 신조 총리에게 정치 조언을 마다하지 않는 정치인이었지만, 아베 총리의 아버지 아베 신타로(安倍晋太郎)에겐 치명타를 준 인물이기도 하다. 아베 신타로가 총리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나카소네 때문에 두 번이나 놓친 것. 1982년과 1987년의 일이다.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마이니치신문 기자로 사회생활을 출발한 아베 신타로는 1956년 중의원 선거에 출마해 부친(중의원을 지낸 아베 칸)의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1979년 자민당 정조회장, 1981년 스즈키 젠코 내각의 통산상(통상장관)을 지낸 아베 신타로는 1982년 총리 자리로 이어지는 자민당 총재 선거에 나서게 되었다. <아베 신조의 일본>(노다니엘 저, 세창미디어)이라는 책은 당시를 이렇게 쓰고 있다.

<1982년 11월, 자민당의 새로운 총재를 뽑는 선거가 있었다. 유력한 후보는 나카소네 야스히로와 아베 신타로였다. 나카소네는 다나카 파벌과 재계의 지원을 등에 업고 있었다. 여기에 대항하는 아베 신타로는 장인 기시 노부스케(전 총리)가 만든 파벌이 그를 지지하고 있었다. 결과는 나카소네의 압승이었다. 바야흐로 ‘대통령형 수상’을 지향하는 야심찬 지도자의 탄생이었다.>(‘아베 신조의 일본’ 51쪽 인용)

비록 나카소네와의 경쟁에서 지긴 했지만, 아베 신타로는 나카소네 정부에서 외상(외무대신)에 발탁됐다. 하지만 아베 신타로는 그 이후 한번 더 불운을 맞는다. 1987년 나카소네가 총리에서 물러나면서 그의 후임을 가리는 자민당 총재 선거가 진행됐다. 아베 신타로도 유력한 후보였다. 하지만 선거 대신 ‘입김’이 작용했다. 일본 저자 아오키 오사무가 쓴 <아베 삼대>(길윤형 옮김, 서해문집)라는 책을 인용해 보자.

<(아베 신타로는) 이른바 ‘나카소네 재정’(裁定:중재)을 통해 맹우이던 다케시다 노보루가 후임 총재에 취임하며 눈물을 삼켰다.>(‘아베 삼대’ 175쪽)

‘나카소네 재정’이란 1987년 10월 31일 자민당 총재였던 나카소네 총리가 다케시타 노보루 자민당 간사장, 아베 신타로 자민당 총무회장, 미야자와 기이치 대장상 가운데 차기 후임 총리로 다케시타 노보루를 점찍은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나카소네에 의해 아베 신타로는 총리직을 코앞에 두고 두 번이나 낙마하고 말았다. <아베 삼대>는 이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아베 신타로는 다케시타 정권이 되어서는 당무를 총괄하는 자민당 간사장에 취임해 ‘다케시타 다음은 신타로’라는 밀약이 있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그러나 리쿠르트 사건이 자민당을 직격한 것으로 인해 모든 계획이 물거품으로 돌아갔다.>(같은 책 176쪽)

이 일이 화근이 되어 아베 신타로는 췌장암을 얻어 1991년 5월 15일 세상을 떠났다. 아베 신타로를 두 번이나 낙마시킨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 그의 어록 중엔 ‘정치가는 역사의 법정에 선 피고’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요즘의 정치인들이 곱씹어봐야 할 말임에 틀림없다. <에디터 이재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