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음에 쓰러지고, 술병 이름 짓고...총리들과 술
폭음에 쓰러지고, 술병 이름 짓고...총리들과 술
  • 에디터 이재우
  • 승인 2020.09.09 1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의 정치가들과 술(酒)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과거, 낮에는 도쿄 나가타초(永田町: 일본 정치 중심지), 밤이 되면 아카사카(赤坂) 주변의 요정(料亭) 거리로 정치 중심이 옮겨가는 게 일상이었다. 이른바 ‘요정 정치’다. 이젠 사라진 풍속이지만 한때 술은 내각의 운명을 좌우하는 ‘정치적 변수’로 작용하기도 했다. 일본 관가도 크게 변했다. 아베 신조 총리는 지병 탓에 술을 즐기지 않는다. 후임으로 사실상 확정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술과는 아주 거리가 멀다. 일본 역대 총리들과 술에 얽힌 스토리를 소개한다. 

아베 총리 후임 스가는 술 입에도 대지 않아
#. 
건강상의 문제로 사임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술을 즐겨 마시지 않는다. 지병 탓이다. 1차 내각(2006년 9월~2007년 9월) 당시 궤양성 대장염으로 1년 만에 사임했던 그는 이번에도 지병 탓에 물러난다. 궤양성 대장염은 일본 후생성이 불치병으로 간주하는 질병이다. 

아베의 속병은 청년기인 17세 때 처음 발병한 것으로 전해진다. 아베의 한 대학 친구는 일본 주간지에 “아베는 장이 약해서 모임에서도 거의 술은 거의 마시지 않았다”(安倍は腸が弱いとかでコンパでも酒はほとんど飲まなかった)고 말하기도 했다. (아베의 아버지 아베 신타로는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아베의 후임 총리로 사실상 확정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71) 관방장관은 어떨까. 그는 술을 한 방울도 입에 대지 않는다. 체질적으로 맞지 않아서다. 아베보다 여섯 살 연상인 그는 심지어 명함 뒷면 프로필에 ‘알코올은 전혀 안한다’(アルコール:全然ダメ)는 문구를 넣어 다닐 정도다. 대신 스가는 달달한 케이크를 즐겨 먹는다. 

스가는 역대 총리들이 아버지나 집안의 후광 덕에 정계에 입문한 것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아버지는 아키타현에서 딸기 농장을 했다. 스무살에 도쿄로 상경해 야간 대학(호세이대학 법학부)에 들어간 것도 낮에 돈을 벌기 위해서였다. 

본인이 술을 마시지는 않지만 자리까지 마다하는 건 아니다. 스가는 젊은 기자들과의 회식 자리에서 “나는 전혀 술 마시지 않지만 자네들은 사양말고 들게나”라는 말을 곧잘 한다고 한다.

술을 즐기지 않는 아베 신조. 아예 입에도 대지 않는 스가 요시히데. 정치적 배신으로 위스크 과음하다 뇌경색으로 쓰러진 다나카 가쿠에이. (사진 위 왼쪽부터) 다나카 가쿠에이에게 정치적 반기를 들었던 다케시타 노보루. 주벽이 있었던 미야자와 기이치. 술 이름에 중국 시인 이백 이름을 붙인 와카츠키 레지로.(사진 아래 왼쪽부터)

다나카 가쿠에이, 정치적 배신으로 위스키 과음
#.
좀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술 때문에 명(命)을 재촉한 총리도 있다.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栄: 64-65대 총리, 1918~1993년)다. 다나카가 위스키 과음으로 뇌경색을 일으켜 ‘정치 생명’을 잃은 건 익히 알려진 일이다. 

‘금권 정치’의 상징적 인물인 다나카는 총리직에 물러난 이후 15년간이나 ‘야미쇼군’(暗將軍:막후 실력자)으로 일본 정계를 주물렀다. 그런 그는 1985년 2월 27일, 도쿄 자택에서 쓰러졌다. 뇌경색이 온 것이다.

이날 예정돼 있던 골프 약속을 취소한 그는 “몸 상태가 좋지 않다”며 낮잠을 잤다. 저녁이 되어 잠자리에서 나오려고 했지만 갑자기 몸이 말을 듣지 않았다. 뇌경색 발병 원인은 이랬다. 

뇌경색 발병 20일 전인 2월 7일. 자민당의 유력 인물 다케시타 노보루(竹下登: 1924~2000)는 가지야마 세이로쿠(梶山静六: 1926~2000), 오자와 이치로(小沢一郎:1942~)와 함께 스터디그룹이라는 명목 아래 작은 파벌 소우세이카이(創政会)를 발족시켰다. (스가 요시히데는 관방장관을 지낸 가지야마 세이로쿠를 자신의 정치적 스승으로 모시고 있다.)

소우세이카이의 진짜 목적은 다케시타 노보루를 총리에 올리는 일. 다나카 가쿠에이에게는 ‘반기’였던 셈이다. 소우세이카이라는 이름은 다케시타가 발간하고 있던 당 기관지(創政) 이름에서 따왔다. 그런 소우세이카이의 첫 모임에 자민당 의원 40명이 모였다. 

믿었던 다케시타 노보루의 내부 반란에 다나카 가쿠에이는 큰 충격을 받았고 분노했다. 그 이후 그는 연일 분노한 상태로 아침부터 저녁까지 독한 위스키를 들이켰다고 한다. 아무리 마셔도 분노는 가라앉지 않았다.

결국 과음은 그를 ‘정치적 죽음’에 이르게 했다. 소우세이카이 발족 20일 후인 2월 27일, 그는 결국 뇌경색으로 쓰러졌다. 이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그는 1990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고, 1993년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런 다나카 가쿠에이를 술 때문에 얼굴 찌푸리게 한 이가 있었다. 훗날 총리가 되는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1919~2007)였다. 도쿄제국대학 법학부를 수석 졸업한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 미야자와 기이치는 술을 상당히 즐겼는데, 주벽(酒癖)이 있었다고 한다. 자민당을 취재했던 한 기자는 다나카 가쿠에이의 말을 인용해 이렇게 보도한 바 있다.  

“미야자와 기이치는 비서관이라면 일류이지만, 정치인으로는 아직 멀었다. 다시는 함께 술을 마시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다케시타 노보루를 중심으로 탄생한 자민당 최대파벌 다케시다파는 1991년, ‘술 버릇 나쁜’ 미야자와 기이치를 78대 총리로 추대했다. 

일본 술의 발상지 시마네현에서 만드는 이백주조(李白酒造)의 브랜드 '이백'.

술 브랜드에 중국 시인 이백(李白) 이름 붙인 총리
#.  
일본 총리 가운데는 술 이름을 만든 이도 있다. 시마네현 마쓰에(松江)시 출신의 와카츠키 레지로(若槻禮次郞: 1866~1949)다. 총리를 두 번 지낸 와카츠키 레지로는 두보와 쌍벽을 이루던 중국 당나라 시인 이백(李白)의 시를 좋아했다고 한다. 

그런 그는 1928년, 주선(酒仙) 이백의 이름을 사케 브랜드에 붙여줬다. 1882년 창업한 이백주조(李白酒造)라는 전통 양조장이다. 술병의 ‘이백’이라는 한자는 와카츠키 레지로가 쓴 글씨체다. 이백주조는 제조 물량의 3분의 1을 수출하는 등 해외에서 인기가 많은 브랜드다.  

시마네현은 일본 사케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1300여 년 전, 나라(奈良) 시대에 편찬된 『이즈모국풍토기(出雲国風土記)』에는 “이 땅에 신들이 모여 술을 제조해 180일 동안 잔치를 열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즈모국은 지금의 시마네현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사케 발상지는 이즈모(出雲)시에 있는 사카신사(佐香神社)가 그 중심인데, 사카(佐香)는 사케의 옛 이름이다. 사카신사에서는 ‘술 제조의 신’ 쿠스노카미(クスノカミ)를 모셔 놓았는데, 예로부터 술 제조 종사자들이 신앙을 빌던 곳으로 유명하다. 

다시 재상 와카츠키 레지로 이야기. 그는 1차 집권내각(1926년 1월 30일~1927년 4월 19일)과 2차 집권내각(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사이인 1930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해군 군축조약’에 수석대표로 참여한 바 있다. 그는 당시에도 자신이 브랜드 네이밍한 고향의 술 ‘이백’(리하쿠)을 갖고 가서 마셨다고 전해진다. <에디터 이재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