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재일 한국계 교토국제고등학교 야구부의 우승은 그야말로 감동 그 자체였다.
교토국제고는 23일 일본 효고현 한신고시엔야구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여름 고시엔)에서 간토다이이치고를 연장 접전 끝에 2대 1로 꺽고 우승을 차지했다.
‘동해바다 건너서’로 시작하는 교토국제고의 한국어 교가가 다시 울려 퍼지면서 한국과 일본에서 큰 감동을 주었다.
현재 민단이 운영하고 있는 교토국제고의 일본인 학생 비율이 80%에 달하면서 언제까지 한국계 학생들이 고시엔에 출전할 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고시엔 대회는 숱한 감동과 스토리를 낳았다. 되돌아보면 오키나와 반환 운동에 불을 지폈던 것도 고시엔 야구였다. 숨은 그 스토리를 소개한다. <에디터 이재우>
고시엔 구장 ‘흙’ 가져가는 전통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고시엔 대회(올해 106회). 매년 효고(兵庫)현 고시엔(甲子園)구장에서 열리는 이 대회는 경기장의 이름을 따 고시엔 대회라고 불린다.
3~4월 열리는 ‘봄 고시엔’(선발고교야구대회)과 8월에 개최되는 ‘여름 고시엔’(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이 있지만, 대개 고시엔하면 여름 대회를 말한다. 고시엔은 일본 내 4000여 개 고교가 경쟁하며 봄에는 마이니치신문, 여름에는 아사히신문이 개최한다.
원래 고시엔 대회는 효고현 나루오 구장에서 열렸다. 대회 인기가 높아지면서 관객 수용이 문제였다. 그래서 6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고시엔 구장이 1924년 들어섰다. 10회 대회부터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게 된 것이다.
고시엔 구장은 프로구단인 한신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고시엔 대회가 열리는 동안은 한신은 구장을 옮겨 경기를 치른다. 그만큼 고시엔의 인기는 프로 못지않다.
그런 고시엔은 일본 고교 야구선수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다. 출전 선수들은 시합에 지면 눈물을 머금으며 고시엔 구장 그라운드의 흙을 담아간다. 그해 여름의 뜨거웠던 고교 청춘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선수들에겐 평생 ‘가보’와도 같은 상징물이다.
그런 전통은 코로나 때문에 잠시 멈췄다. 20019년부터 코로나 감염 우려 탓에 흙을 가지고 가는 게 금지됐다. 그러다 2023년 여름 고시엔 대회부터 원상 회복됐다.
NHK(2023. 7. 28), 마이니치신문(2023. 8. 23.) 등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고시엔의 흙을 가지고 돌아가는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됐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한다.
그럼, 선수들이 매번 가져가는 흙은 어떻게 보충할까. 또 이 흙은 어디서 오는 걸까.
일본 스포츠매체들에 따르면, 선수들이 1년 동안 가지고 가는 양은 약 2톤에 달한다고 한다. 가지고 간 양만큼 다시 보충이 된다. 고시엔의 흙은 흑토와 모래를 혼합한 흙이다. 오카야마, 미에, 가고시마, 오이타, 돗토리현 등 전국 각지에서 엄선된 흙만 가져온다.
모래의 경우는 중국 복건성에서 들여온다고 한다. 봄과 여름 대회를 치를 때, 흑토와 모래의 비율이 각각 다르다고 한다. 비가 많은 봄에는 배수를 좋게 하기 위해 모래가 많이 사용된다. 빛 반사가 심한 여름에는 공을 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흑토를 많이 넣는다.
그런데 이 고시엔의 흙과 관련, 쓰라린 역사가 있다. 바로 오키나와다. 오키나와의 고등학교들은 한때 고시엔에 출전할 수 없었다. 세월이 지나 출전은 했지만, ‘상징물’인 흙을 갖고 갈 수 없었다. 오키나와 타임즈(2021. 8. 18) 등 여러 매체들을 종합하면 그 사연은 이렇다.
오키나와 슈리고와 코난고 ‘눈물의 드라마’
태평양전쟁이 끝났지만 오키나와는 일본에 반환되지 않고 미국의 통치하에 있었다. 미국령이기 때문에 오키나와의 고등학교들은 고시엔 대회에 나갈 수 없었다. 마침내 첫 출전이 이뤄졌다. 1958년 8월 40회 대회였다.
첫 출전 영광의 학교는 오키나와의 슈리(首里)고교. 하지만 슈리고는 1회전에서 후쿠이현의 강호 쓰루가(敦賀) 고교에 0대3으로 패하고 말았다. 슈리고 역시 고시엔의 전통대로 흙을 가져가기로 했다. 선수 몇 명이 비닐 봉지에 흙을 담아 갔지만, 오키나와에 도착했을 때 문제가 발생했다. ‘본토의 흙을 반입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
오키나와는 미국법을 적용받는 땅이었다. 그런 미국법에 따라 ‘식물 검역법’에서 제동이 걸린 것이다. 선수들은 또다시 눈물을 흘려야 했다. 소중히 가져온 고시엔의 흙을 고스란히 바다에 버릴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당시 언론에 보도되면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그런데 기적과도 같은 작은 사건이 벌어졌다. 사연을 접한 항공사의 한 여성 승무원이 고시엔 구장의 작은 돌 40개를 오키나와에 전달한 것이다.
당시 검역법에 따르면, 흙은 반입이 금지되지만 돌은 상관이 없었다고 한다. 슈리고의 고시엔 출전 기념비에는 지금도 이 ‘고시엔 돌’이 박혀 있다.
그게 시작이었다. 슈리고 사건이 계기가 되면서 오키나와 반환 운동이 한층 달아 올랐다. 1960년 오키나와 조국복귀협의회(縄県祖国復帰協議会)가 결성됐고, 본격적인 대중운동이 힘을 받았다. 운동은 오래 걸렸다. 드디어 12년 뒤인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이 이뤄졌다.
드라마틱한 일은 2010년 봄과 여름에 연이어 일어났다. 2010년 오키나와의 코난(興南)고교가 봄 고시엔과 여름 고시엔 대회에서 연속 우승을 한 것이다. 오키나와로서는 ‘고시엔 흙 반입 거부 사건’(1958년)에 이어 50년 만에 거둔 최고의 경사였다.